전체

  1. home
  2. 알림마당
  3. 2018년 이전 자료실
  4. 청소년 과학교육
  5. 전체
  • 2018년 이전 고경력 과학기술인들이 청소년 과학교육활동 후 작성한 각종 보고서들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과학꿈나무 지식멘토링
주제
전통과학(도량형)이야기
참여전문위원
탁기수
장소
국립중앙과학관
작성일
2018-09-02
내용

과학꿈나무 지식 멘토링

ㅇ 일 시 : 2018.9.2 (일) 14:00~16:00

ㅇ 장소 : 국립중앙과학관

ㅇ 학생 : 원나연, 백승호 (2명)

ㅇ 멘토링 내용 :

1.과학관 전시품과 도량형의 의미

도량형은 길이를 의미하는 도(), 부피를 재는 양(), 무게를 다는 형()을 합친 단어에서 유래하고 있다. 즉 길이의 장단, 부피의 다과, 무게의 경중을 재는 수단이자 단위 등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다. 길이를 재는 자, 부패를 재는 되와 말, 무게를 다는 저울 등을 가리킨다.

이 도량형이 서로 한 가지 기준을 가지고 있다면 서로 물건을 사고 팔 때도 싸울 일이 없고, 물건의 양을 이야기할 때도 얼마나 많은 양인지 혹은 얼만 큼의 길이인지 이해하기 쉽다.

 

2.세종대왕과 조선의 과학기술

세종대왕은 조선과학기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이 시기에 여러 분야의 기술이 발달했고, 과학적 제도 또한 크게 진전되었다. 무질서했던 도량형의 기틀이 확립되고, 금속활자 기술이 발견된 것은 물론, 훈민정음이 창제되었다. 또한 앙부일구, 자격루와 같은 시간 측정 도구가 만들어졌으며, 측우기와 같은 기상측정 기구도 발명되었다. 천문학분야에선 중국의칠정산내편,” 이슬람의 천문계산법을 정리한 칠정산외편이 만들어졌다. 이는 우리 천문학이 당시의 중국이나 이슬람 천문학과 비교할 수 있는 높은 과학기술 수준이였음을 증명해줍니다. 세종이 다스렸던 15세기 전반기 동안 과학기술은 조29,5,0,28일 정도로 그야말로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 선진국이었다.

   

세종대왕(1418~1450)의 훌륭한 사상은 평등사상과 애민사상이 뚜렷했다. 평등은 백성의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든지 인재를 고루 등용하였고, 또한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남달랐다. 1441(세종 23) 조선 시대의 공식적인 우량측정기인 원통형 철제 우량계인 측우기 발명을 들 수 있다. 측우기가 쓰이기 이전에는 비가 온 후 흙 속에 얼마나 빗물이 스며들었는지를 일일이 조사하는 비과학적인 측정법이었다. 세종 때의 측우기는 세계의 측우기 중 가장 먼저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유럽에서는 1639년에 처음으로 측우기로 강우량을 관측하였다고 하는데. 우리가 유럽보다 약 200년이나 빠르다.

 

첨부파일
담당부서 과우회 담당자 과우회 연락처 02-566-324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