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주위 공기오염이 태아성장에 미치는 영향(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on fetal growth)

전문가 제언
□ 여러 가지 환경오염물은 임신에 있어서 자연유산, 조산 및 사산과 같은 불리한 결과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여 년간 공기오염에 의한 건강위해가 되풀이 되는 것에 대하여 관심이 커지고 있다.

□ 그 동안 세계도처에서 수행한 임신에 대한 공기오염영향조사 내용을 보면, 영국에서 고정오염지역 거주민과 그러지 않은 대조군 사람들의 LBW의 증가를 조사하였으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스웨덴의 조사 결과도 공기오염이 짧은 회임기간 및 LBW에 영향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베이징의 공기오염, 특이 부유분진 및 이산화유황이 PTD 및 LBW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 조사결과를 보이고 있다. 체고의 생태연구에 의하면 체코의 심하게 오염된 지역에서 임신 3개월째 PM10 농도 40μg/m3이상 및 PM2.5농도 37μg/m3이상에서 IUGR증가가 관측되었다. 우리나라의 조사결과 임신 3개월째에서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유황 및 부유분진 등의 오염이 LBW위험 증가에 유의성이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

□ 위의 몇 가지 연구결과 공기오염과 LBW과의 관련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공기오염을 임신결과에 불리한 결정요소로 고려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공기오염에 의한 건강영향을 연구하는데 주요 난점은 폭로의 정확한 평가이다. 지역오염에 기초한 수치를 개인 폭로 값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실제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 가지 예로서 임신 중 거주 지역을 이동하면 폭로된 값을 제대로 반영하기가 어렵다. 조사된 자료를 통계처리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서 교란요인(Confounder)을 들 수 있는데, 모체의 나이, 수태계절, 결혼상태(기혼, 미혼), 모체의 흡연 여부, 교육정도, 상대남성의 정액품질 및 조정된 OR 값 등이다. 이와 같이 조사방법 자체에 고유한 한계가 있음으로 향후 공기오염과 부정적 임신결과의 관련성의 연구에서는 모든 오염원으로 받는 개인의 총 폭로량을 더 정확히 평가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저자
Maisonet, M; Correa, A; Misra, D; Jaakkola, JJK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95(1)
잡지명
ENVIRONMENT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6~115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