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TOA EIYO(주)제제기술센터 개요(클린 룸 클린 설비를 중심으로)

전문가 제언
□ 의약품제조는 생명의 안위와 직결되므로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UN은 물론, 미국의 FDA규격이 세계표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국은 이에 준한 나름대로의 국가규격을 만들어 자국의 규제기준으로 삼고 있다.

□ 미국의 FDA규격은 의약품이나 신약개발 시 매우 엄격한 규격과 기준을 요구한다. 이는 인명존중의 면도 있지만, 수입을 원천적으로 규제하려는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그 규정에는 원부재료의 품질검사, 공정관리, 용폐수 관리, 폐기물관리, 제품관리, 창고관리, 관련문서관리 등이 포함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규격과 기준을 만들어 의약품과 신제품의 심사에 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의약품을 수출하려면 일차로 문서검증(varidation)부터 받아야 한다. 아울러 생산(GMP) 및 품질관리설비(GLP)에 대한 검증도 받아야 한다. 이 과정이 통과되면, 미국 FDA에서 업무위탁을 받은 전문가들이 분야별로 현지시설을 점검한다. 이처럼 까다롭기 때문에 한국의약품으로서 미국 FDA의 허가를 받은 것은 아직 몇 개에 불과하다.

□ 신규물질이나 의약품 개발은 주지하듯이 전(前)임상단계(preclinical)를 지나, 임상의 3단계(phaseⅠ, Ⅱ, Ⅲ)를 합격해야 비로소 최종허가서가 나온다. 그 기간이 최소 10년 이상이며, 효능과 독성에 대한 합격 가능성은 10% 미만으로 매우 낮다. 그러나 미국 FDA의 허가를 받으면 전 세계로 수출하는 길이 열린다. 따라서 각국은 미국기준에 맞는 연구개발, 품질관리, 생산과 포장 및 보관설비를 구축하느라고 안간힘을 쓴다.

□ 마침 일본의 한 중견제약회사에서 이러한 설비를 준공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어 우리가 타산지석으로 참고할만한 자료로 생각된다. 이는 설비규격과 관리에 대한 규제이면서, 세계시장을 뚫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저자
YUK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14(5)
잡지명
Clean technology(N27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26
분석자
임*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