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의 감염성미생물과 바이오안전관리(The Infections Microbes in the Air and Bio-safety Control)
- 전문가 제언
-
□ 2003년의 사스바이러스 출현으로 신종 전염병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국내에서도 여행객 증가로 안심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
□ 정부에서도 질병관리본부를 설치하여 전염병 감시체계를 만들고 조직적인 역학조사반을 편성하여 대응하고 있으며, 감염병 발생주보를 통하여 신속한 정보 전달로 조기 합동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 전염병의 제1군~4군까지의 분류방법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일본 사례와 달리 우리는 사스가 제 4군에 속하는 등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나라별로 전염에 대한 분류방법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해외유행 전염병이 계속 출현하고 있어서 만반의 대책이 요구된다.
□ 더욱이 생물테러에 대한 대응도 필요해서, 현재의 전염병 전문가훈련 프로그램과 함께 관련단체와 업계의 조직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
□ 현재 건축 환경 측면에서는 설비로서 필터여과를 대부분 채용하고 있으나 이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정기적 소독 또는 교체가 필요하고 닥트 환기에서 내부의 청소가 반드시 정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청소가 쉽도록 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Junko Kosuge ; Kosuke Takator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78(5)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35~340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