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점오염물질의 하천유출 유하기구(Runoff mechanism of pollutants from non-point sources)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하천구조를 일본과 비교하면 4대강을 제외한 하천들은 일본처럼 하천의 길이가 짧고 얕으며 특히 산림지역에서는 급경사가 많은 것이 일본의 일반하천과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산림이나 농지의 구성면에서 일본과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화학적인 특성도 일본과 상당히 유사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농지나 산림 및 도로 등 시가지에서 유래되는 비점오염의 현상은 물론이고 이들의 원인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며 비점오염문제의 해결이 없이 해양환경을 포함한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산림 및 농림지의 수질화학적인 오염부하에 대한 한국적 모델을 빨리 도출해 내어 자연환경의 오염이 확대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하천의 비점오염에 관련해서는 꼭 현장연구와 모델연구를 병행하도록 해야 하며 지역특성이나 농림지에서의 작물재배의 구성이나 특성의 정확한 자료를 입력하도록 원칙을 정해야 할 것이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일본에서도 아직 규명하기가 어려운 산림과 농림지역에서의 비점오염원의 유출과 하천에서의 흐르는 과정에서의 수질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와 특히 어려운 강우시의 오염물질의 유출기구에 대한 것을 지적한 것으로 이 분야에 새로이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에게 많은 가이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Takanobu INOU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5)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81~385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