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의 하수도사업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Present and Future of Sewage Works in Japan)
- 전문가 제언
-
□ 도시에서의 하수도시설은 생활하수를 모아, 이를 처리함으로써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강우 시에는 신속하게 빗물을 배수시켜 안전한 도시로서의 기능을 유지케 하는 중요한 시설이다.
□ 우리나라는 2001년도 말 현재 184개의 하수종말처리장이 가동 중에 있으며, 전체 인구의 73.2%가 처리구역 내에 거주하고 있다. 설치된 하수관거 가운데 62%가 생활하수와 빗물을 동시에 배제하는 합류식 관거이며, 38%가 분류식 관거로 되어 있다.
□ 우리나라는 2002년도를 하수관거 특별정비 원년으로 삼고,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태풍 혹은 장마시의 지역적 집중호우에 의한 도시침수의 대처는 미흡한 편이며, 빈번히 발생하는 집중호우시의 배수대책에 좀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는 아직 물부족이 심각하지 않으나 장기적으로 처리후의 하수를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애리조나주의 사막 한 가운데에 위치한 Palo Verde 원자력발전소는 인근에 있는 대도시 Phoenix시의 하수를 처리하여 냉각수로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도시 하수의 재순환의 좋은 예이다.
□ 일본에서는 하수종말처리 후의 하수오니를 바이오매스 에너지자원으로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하수오니의 처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메탄을 발전연료로서 도입하는 시설의 도입이 시급하다.
- 저자
- Shu NI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1)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0~36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