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역관리를 위한 최신기술(New technologies for watershed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에서도 하천유역뿐 아니고 전국적인 자연생태환경의 변화과정을 공간적으로나 또는 경시적으로 관찰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감시가 실시되고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나 장래에는 과학위성의 도움을 받아 이 분야로의 이용이 필히 실행되어야 할 것이며 GIS에 의한 특정지역에서의 관찰은 극히 초보적인 단계라고 생각한다.
□ 일본이 위성이나 GIS기술에 의한 하천유역유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는 산림이나 농림지에서 발생하여 하천으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는 것이 해양환경뿐만 아니고 전국의 자연생태환경을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일 것이다.
□ 산업현장으로부터의 오염물질발생은 경제발전기에는 강력한 규제를 통해서 관리하고 이제는 각 기업의 자주적 관리에 의한 활동으로 많은 진전이 있지만 자연환경은 짧은 기간에 파괴는 쉬우나 복원은 기술적으로나 비용면에서도 어렵기 때문에 우리도 일본의 예를 본받아 유역유출에 대한 오염 부하량을 예측할 수 있고 이를 깨끗한 환경으로 보전하도록 하기 위한 과학적인 접근을 하여야 할 때인 것이다.
□ 유역의 비점오염에 관련해서는 꼭 현장연구와 모델연구를 병행하도록 해야 한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아직도 현장에서의 실측자료가 교육적으로나 또는 정적인 유역관리 자료로는 더 선호하는 현실이지만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광역자료로는 더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 확실시 되는 위성관측기술이나 GIS기술이 일본에서 현재 최신의 유역관리기술로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소개한 자료로 우리에게도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우량한 가이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 저자
- Shigeo FUJI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5)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86~390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