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바이오매스 이용 사례 : 밀짚 보일러에 의한 지역 난방과 바이오 펠릿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원으로서의 바이오매스 장점은 에너지 저장과 재생이 기능하고 환경부하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이 거의 없고 환경에 안전하다는 점 등이다. 그러나 바이오매스는 자원의 지역적 편중과 생산, 수집, 운반, 변환에 관련된 기술적 문제 그리고 산출된 에너지의 경제성에 대한 문제로 보급과 이용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국내에서는 1987년에 대체에너지 개발촉진법이 제정되고 중장기 대체에너지 개발 계획이 수립되면서 바이오매스의 연구, 개발 및 보급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또한 새로운 국가에너지 기술 10개년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1997년부터 2006년까지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 청정에너지 분야로 나누어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6년까지 총에너지 수요의 2%정도를 대체에너지로 공급할 목표로 세우고 있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1970년대까지 에너지 전량을 외국에서 공급받아온 유럽의 덴마크가 1973년의 오일쇼크 이후 새로운 에너지 정책을 수립 추진한 결과 현재는 에너지 수출국으로 전환한 과정을 개략 설명하고 필자가 바이오매스 이용사례를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그 내용을 보고한 것으로 일본의 경우와 비교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낙농이 주 산업인 덴마크는 밀집이나 목재 폐자재, 쓰레기 등의 바이오매스, 태양열, 풍력 등 재생가능 에너지에서 나오는 발전량이 현재 전체 전력 소비량의 18%에 달하고 2003년에는 25%까지 달성될 것으로 예측할 정도로 적극적으로 에너지 정책을 개발 추진하고 있다.
□ 현재 대체 에너지 보급량이 전체 에너지의 0.7% 정도에 불과한 우리나라는 대체 에너지 연구, 개발 및 투자가 에너지 보급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 수립 등의 투자 효율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AKI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30(1)
- 잡지명
- 월간폐기물(L24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6~141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