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문제는 지금 (전) : 적정 처리, 재활용 그리고 발생 억제 : 지속 가능한 폐기물 처리를 목표로 : LCA 등의 객관적·정량적 평가 필요성
- 전문가 제언
-
□ 현재 국내의 폐기물관리 문제 중 하나는 정량적 평가를 위한 신뢰성이 있는 통계가 빈약하고 따라서 폐기물처리에 관련한 정책수립과 각종 시설의 설치계획·운영이 불완전하다는데 있다. 따라서 폐기물의 정량적 평가는 대부분 추산형식으로 행하여지고 있는데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라 할 수 있다.
□ 일본의 경우는 우선 폐기물이 환경부하의 정도에 따라 순위를 정하여 처리기준을 설정운영 하는 방식은 환경보전의 차원에서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 1995년부터 수질오염을 이유로 사용을 중지토록 한 디스포저(주방용 분쇄기)는 약 10년이 지난 오늘날 학자들 간의 사용을 위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그러나 디스포저의 사용이 주방폐기물의 운반 및 취급상의 악취를 해결하고 매립으로 발생하는 위생문제를 크게 개선하겠지만, 디스포저로 처리되는 주방폐기물이외의 급식업소와 연회장 등의 다량의 음식쓰레기 처리가 해결되지 않으면 처리루트를 양분하게 되고 결국에는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NAK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0(1)
- 잡지명
- 월간폐기물(L24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6~40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