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이지방의 체지방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Studies on Molecular Species of Dietary Fat and Body Fat Accumulation)

전문가 제언
□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인 비만은 당뇨병이나 동맥경화증 등의 위험인자 이다. 그래서 식사에 의한 체지방축적의 제어는 생활습관 병의 예방적 관점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 동물유지는 식물유지에 비하여 체지방으로서 축적이 쉽다는 것과, 포화지방섭취에 의한 체지방축적증대는 교감신경활성저하에 의한 식사 유발성의 체열생산 감소, 갑상선 호르몬을 매개로한 Na+, K+-ATPase활성저하 및 지방조직 lipo-protein lipase활성상승 등에 기인하며, 중쇄지방산이 다이어트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지금까지 언급한 연구결과로부터 비만예방의 식사관리에는 섭취하는 지방의 량만이 아니고 그 질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EPA, DHA나 공역(共役) 리놀렌산 등에도 체지방 축적억제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식사 지방의 분자 종이 체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의 전체를 해명하는 것은 비만예방에서 식사관리의 유효성을 보다 높이는 것과 연계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 에스테르 교환에 의한 중 · 장쇄triacylglycerol(MLCT) 생산 활용 증대

○ 중쇄triacylglycerol(MCT)이 기능성이 우수한 것이 인정되어, 그 특성으로부터 수술 후의 유동식이나 미숙아의 에너지원으로 MCT는 수 십년간에 걸쳐 임상에서 이용되었으나, 발연점이 140℃정도로 낮아 가열조리에 적당치 않아 가정에서 튀김시에 포립이 쉽게 일어나고, 가격이 높은 것 등으로 MCT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움이 있어, MCT와 LCT를 혼합해서 효소를 이용하여 에스테르교환을 하면, 1분자 중에 장쇄지방산과 중쇄지방산이 혼재한 중 · 장쇄triacylglycerol(MLCT)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교환을 함으로써 발연점이나 포립 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발견되어, 중쇄지방산의 이용용도를 넓히는 것의 기술이 성공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 에스테르교환기술이 일본 농림규격(소화54년 1월 12일 농림수산성고시제1224호)으로 제정되어있는 식용유지가공기술의 하나로 되어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능성지방을 생산하여 일반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면 한다.
저자
Hiroyuki Takeu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7(1)
잡지명
일본영양 식량학회지(C044)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1~58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