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Oligoglycosides의 기능탐색 연구(Search for Functions of Natural Oligoglycosides : Solanaceae and Leguminosae Origin Glycosides)
- 전문가 제언
-
□ 연구목표와 성과
○ 본 연구는 민간약으로 항종양제와 항헤르페스(포진)제에 이용되는 가지 과의 배풍등이나 까마중 등과 함께 숙취제거, 간 보호제로서 사용되는 콩과의 칡의 갈화(Puerariae Flos)와 갈근(Puerariae Radix) 의 약리적 유효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두 가지 식물은 식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민간약으로서도 인간의 역사와 더불어 식용과 약용으로 우리들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 이용되고 있다.
□ 가지과의 연구
○ 본 연구는 가지과 기원에서는 항종양, 항헤르페스(포진) 작용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알려진 가지 속에 집중하고, 가지과의 대상 식물인 배풍등, 까마중에 대한 유효성분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과 헤르페스억제에 대하여서는 신물질의 발견과 그들의 약리효과에 대하여 깊이 있고 다양한 실험을 하여, 동양의학의 차원을 넘어선 새로운 신 의료물질로서의 발전을 유도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앞으로 다양한 결과의 활용이 가능 할 것이며 특히 새로운 농산자원의 기능성 식품으로의 발용이 기대된다.
□ 콩과의 갈화와 갈근의 연구
○ P. lobata기원의 갈화 주성분은 isoflavone(5.6%)과 triterpene glycoside(2.4%)이다. 갈화 추출물의 약리작용은 알코올대사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갈화 추출물을 oleanene glucuronide와 isoflavone으로 분획하면 isoflavone분획에는 알코올대사를 촉진하는 작용을 확인하였으며, 대사이상에 관해서는 에탄올 투여에 동반하여 발생되는 혈당치(BG)나 중성지질(TG)상승을 갈화추출물이 억제하였다는 것이다. 분획에서 신 물질로 밝혀진 oleanene glucuronide은 중성지질을 낮추는 것이 판명되었다.
○ 고지방식유발성 간 장해 모델에서, 추출물 및 oleanene glucuronide와 isoflavone의 양 분획에서 GTP(ALT)치의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사염화탄소 유발성 간장해모델에서는 분획 후의 분획물에 GOT(AST), GPT(ALT)치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 최근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갱년기 장해, 호르몬 의존성의 암, 허혈성 심질환 등의 이환 위험을 저하시키는 것이 밝혀져 주목을 받고 있다. 갈화 isoflavone의 에스트로겐 작용을 검토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결합능력은 tectorigenin에 daidzein과 같은 정도의 결합능력이 인정되었으며,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발현능력은 결합능력과 같이 tectorigenin에 daidzein과 같은 정도의 발현능력이 인정되었고, irisolidone에는 거의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 최근 한국산 생약 사간(射干)으로부터, 염증성 cyclooxygenase인 COX-2단백합성유도저해작용물질로서 isoflavone의 tectorigenin 및 tectoridin을 찾아내었다. 이것을 계기로 한국산갈화의 약리작용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그래서 tectorigenin의 항균작용, tectorigenin, irisolidone, genistein의 항 helicobacter pylori작용, tectorigenin, genistein의 전(前)골수성 백혈병(HL-60)세포분화작용 등도 보고되었다.
○ 이상의 연구결과는 매우 획기적이며 그 연구노력이 심대하였음을 느낄 수 있다. 이 연구결과가 비록 우리나라의 연구진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한국의 전통의약과 한국산 칡에 대한 부분도 있어, 결과의 활용과 앞으로의 연구진행에 깊은 과심을 가지고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신약개발을 위한 신물질의 합성은 물론 자연 식물의 유효한 자원 활용에 기초 자료로 많은 이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Toshihiro NOHA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24(4)
- 잡지명
- 약학잡지(A15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83~205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