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 각인 고분자 : 합성과 특성(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 전문가 제언
-
□ 분자 각인 고분자는 특정 결합 site를 갖고 있는 고분자로, 주로 template 존재 하에서 고분자 network를 제조하여 만들고 있다. 사용한 template에 따라 결합 site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분자 인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많은 부분의 응용이 기대되는 소재이다.
□ 분자 각인 고분자는 자유 라디칼 중합 방법을 통해 일반적으로 제조되고 있고, 그 형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crosslink를 도입해서, network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첨가하는 crosslinker의 양에 따라, gel type을 형성하기도 하고, macroporous network를 형성하기도 한다. gel type은 건조가 되면, 수축하는 특성이 있어, 표면적이 적고, 용매에 들어가게 되면 팽창하여 기계적 강도가 약한 특성이 있어, 분자 각인 고분자로는 macroporous network 형태를 더 선호하게 된다. 이는 고분자 합성이 일어나는 도중에 용매에 의해 기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합성 중에 상분리가 일어나게 되고, 기계적 강도가 매우 높으면 표면적도 높아 응용 가능성이 높은 형태이다.
□ template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macroporous network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중합 조건은 template와 화학적으로 상호 인력이 없어야 하며, template의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 분자 각인 고분자는 분자 인식의 다양성을 변화시키면, 분자 인식에 의한 기능을 도입할 수 있으므로, targeting, 분리와 같은 응용 가능성이 높아, 최적의 분자 각인 고분자를 개발하기 위해서 화학 평형, 분자 인식 이론, 열역학 및 고분자 화학에 관한 기초 연구와 아울러, 합성 방법, template 선정, 용매, 개시제 선정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많은 응용분야를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Cormack, PAG; Elorza, AZ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804(1)
- 잡지명
- JOURNAL OF CHROMATOGRAPHY B-ANALYTICAL TECHNOLOGIES IN THE BIOMEDICAL AND LIFE 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3~182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