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의 안전대책과 검사기술(Food Safety and Analysis)

전문가 제언
□ 최근, 농산물을 비롯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이나 원재료에 잔류하는 농약이나 식품첨가물의 안전성확보 등을 비롯하여, 근년에는 GMO 식품이나 환경호르몬 등의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건강 위해 우려감이 확산되고 있어, 이들 과제에 대한 대책이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 더욱이 최근 농산물에서 기준치 이상의 잔류농약 또는 사용금지 농약의 검출 등이 메스콤에 보도됨에 따라 안전성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되어 농 · 식품의 안전관리 대책이 강화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최근 수입식품의 증가와 다양화, 신규등록약품의 증가에 따라 기준치의 설정이 이에 뒤따르지 못한 실정으로, 식품 중에 잔류하는 농약, 동물의약품, 사료첨가물에 대한 기준이 설정되지 않았지만, 안전이 염려되는 일정량 이상 함유된 경우는 식품의 유통을 금지하는 포지티브 리스트(positive list)제를 도입하여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식품 안전성에 관한 행정의 동향과 잔류 농약, 잔류동물용 의약품, 곰팡이 독, GMO, 알레르겐(allergen) 등의 분석기술에 관한 최신 기술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식품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대책과 분석기술 현황과 그 동향은 우리나라의 식품안전 대책 수립에도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특히, 그 동안 잔류 농약 등 식품의 안전성 위해 물질의 분석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됨으로 이에 대처하는 효율적 검색용 다양한 키트 개발도 되고 있다. 향후 증가되는 다양한 검사 대상물에 대해, 보다 저렴하게, 신속 · 정도(精度) 높게 검사할 수 있는 많은 검체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검사법의 지속적 개량 발전이 요망되고 있다.

□ 아울러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 식품 잔류농약 검사 등 의 모니터링과 함께 식품과 그 원재료의 생산, 가공, 유통, 판매를 포괄하는 생산이력 추적시스템(traceability) 등의 도입과 빠른 실시가 중요한 식품의 안전대책이라 생각한다.
저자
Editor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9(4)
잡지명
식품과 개발(M10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0~24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