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주 도시들의 차량교통량 감소대책(Reducing car travel in Australian cities)

전문가 제언
□ 호주는 769만 평방킬로미터의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으나 인구는 1,900만에 불과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대부분이 도시지역에 몰려 있어 교통 혼잡과 환경오염 등의 심각한 도시문제를 겪고 있고, 또한 독특한 자연환경과 특이한 생물군을 보유하고 있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일찍부터 발달하였기 때문에 세계에서 환경대책이 가장 엄격한 나라 중의 하나이다.

□ 여기서는 호주 도시들의 차량교통량 감소대책으로서 도시형태 개조와 공공수송 개선대책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로서 1) 도시의 인구밀도와 토지이용 혼합정도가 높으면 교통량이 감소하고, 2) 중앙 집중형 도시는 교통량 감소에 비효율적이며, 대도시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은 저인구밀도의 외곽지역 성장을 억제하고 도심과 외곽의 중간교외지역을 성장시키는 것이며, 3) 도시철도는 차량교통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대도시가 직면하고 있는 수송문제에는 신속한 해결책이 없으며, 정치적인 의지로서 일련의 장단기적인 대책을 수행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 도시교통혼잡은 결국 급속한 차량증가에 비해 도로시설이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는 도시 활동의 기동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에너지 및 교통사고의 증가나 환경오염문제로 연결되고 있다. 우리나라 도시들은 대부분 심각한 교통 혼잡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데, 특히, 대도시에서의 교통체증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1987년에 시속 15.2km이던 서울의 러시아워 차량운행속도가 1996년에는 7.2km까지 감소하여 거의 사람의 보행속도와 다를 바 없이 되어버렸고, 결과적으로 지하철과 버스의 혼잡이 가속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 호주는 국토나 환경 및 도시여건이 우리나라와 다르기 때문에 도시교통혼잡에 대한 이 같은 연구결과가 우리나라의 도시정책이나 도시교통대책에 직접적으로 활용되기는 어려우나, 도시교통량을 감소시키는 연구방법론으로서의 도시형태 개조나 교통량 수요관리 및 공공수송시스템 개선대책은 참고해야할 사항으로 사료되며, 또한 호주 대도시들의 교통현황이나 도시개발방향도 일부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저자
Luk, James Y.K.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129(2)
잡지명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4~96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