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전자통신장비의 실내 난방(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room cooling)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컴퓨터와 전자 통신장비에 대한 실내 냉방에 관한 문헌 조사로서 257편의 문헌을 조사하여 항온항습 방법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해석 모델링, 실험연구, 에너지 절약 기법, 마루바닥의 형상, 공기의 흐름 방향등 다방면에 걸쳐 조사 분석하여 발표한 문헌 리뷰이다.
□ 기술이 점점 콤팩트화 하고 있으므로 정보기술 산업은 컴퓨터나 통신장비에 있어서 발열 밀도 증가와 고밀도 패킹(packing) 기술로 인한 냉각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컴퓨터나 통신 장비실은 전자 부품의 열팽창과 내부응결 및 정전기 발생 등으로 오동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일반 사무실과는 달리 현열과 잠열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항온항습의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전산실의 열원은 모두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현열(sensible heat)이기 때문에 냉방기의 전체 냉방능력 중 현열능력이 커야 하고, 같은 냉방능력의 일반 냉방기에 장착된 증발기 보다 훨씬 큰 증발기를 장착해야 한다. 난방문제는 컴퓨터 자체에서 열이 발생되므로 큰 용량의 히터는 필요하지 않는다. 습도문제는 전산실에는 크게 습기가 발생할 곳이 없기 때문에 현열용량이 큰 냉방기로도 습도조절이 가능하다.
□ 컴퓨터와 전자통신장비에서 발생되는 열을 해석하여 효율적인 냉각방식과 냉각시설을 설계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에 열 해석 전용 소프트웨어로서 Fluent사에서 개발한 ICEPAK와 I-DEAS로 유명한 SDRC사의 ESC, 그리고 STAR CD, STAR COOL 등이 있고,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영국의 Flomerics사에서 개발한 FLOTHERM 이라는 열 해석 전용 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확한 열 해석을 통하여 효율이 높은 항온항습 시설이 설계되어져야 할 것이다.
□ 일반 장비실의 항온항습 시설이 대부분 중앙 집중식 방식이지만, 데이터 처리실은 개별 방식을 채택하여 만일의 경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항온항습 체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Roger R. Schmidt, H. Shaukatulla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26(1)
- 잡지명
-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and Packaging Technologi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89~98
- 분석자
- 주*호
- 분석물
-